맨위로가기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WCT)은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다루기 위해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WIPO)가 주도하여 1996년에 제정되었으며, 2002년 3월 6일에 발효되었다. 이 조약은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저작물로 보호하고, 저작물의 배포 및 대여 통제 권한을 저작자에게 부여하며, 기술적 보호 조치 무력화와 권리 관리 정보의 변경을 금지한다. WCT는 각국의 국내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을 통해 대응한 미국, 관련 EU 지령을 통해 조약을 승인한 유럽 연합, 저작권법 개정을 통해 대응한 일본 등 각국의 이행 현황이 존재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는 비판과, 획일적인 기준 적용에 대한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은 핵무기 실험 폭발 및 기타 핵폭발을 금지하고 방지하는 국제 조약으로, 국제 감시 시스템을 통해 준수 여부를 감시하지만 일부 국가의 비준 거부와 러시아의 비준 철회로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 2002년 발효된 조약 -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 규정은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국제 조약으로, 집단살해죄, 인도에 반한 죄, 전쟁범죄, 침략범죄 등 가장 심각한 범죄에 대한 ICC의 관할권을 규정하며, 1998년 로마에서 채택되어 2002년에 발효되었다.
  • 2002년 발효된 조약 - 항공자유화조약
    항공자유화조약은 회원국 간 상호 영공 정찰 비행을 허용하여 군사 활동 투명성을 높이는 조약으로, 미국과 러시아의 탈퇴 후 현재 34개국이 회원국으로 남아 정보를 공유한다.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
조약 정보
명칭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
다른 명칭WIPO 저작권 조약 (WCT)
서명일1996년 12월 20일
서명 장소제네바, 스위스
효력 발생일2002년 3월 6일
효력 발생 조건30개국 비준
기탁 기관세계지적재산권기구 사무총장
사용 언어영어, 아랍어, 중국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비준 국가 수110개국
관련 정보
내용정보 관련 기술의 발달 등에 대응하여, 저작권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함.
위키소스WIPO Copyright Treaty
외무성 조약 검색 (PDF)조약 검색

2. 역사적 배경

WCT는 1971년 스톡홀름 회의 이후 베른 협약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논의에서 시작되었다.[7] 초기에는 베른 협약의 의정서 형태로 여겨졌으나, 모든 당사국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했기 때문에 베른 협약을 보완하는 추가적인 조약으로 구상되었다.[8] 1980년대 베른 협약 확장에 대한 협상이 결렬되면서, 논의는 GATT로 옮겨져 TRIPS 협정을 낳았다.[9][10] 이후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 주도로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저작권 문제에 초점을 맞춘 조약이 탄생하게 되었다.

3. 조약의 주요 내용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WCT)은 창작 활동이 중요하며, 저작권 보호가 이에 대한 인센티브로 작용한다고 강조한다.[7] 컴퓨터 프로그램은 문학 작품으로,(제4조) 데이터베이스는 자료의 배열 및 선택에 대한 저작권으로 보호한다.(제5조) 저작자는 저작물의 배포 및 대여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가지는데,(제6조~제8조) 이는 베른 협약만으로는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저작물 보호를 위한 기술적 조치 무력화를 금지하고,(제11조) 저작물에 포함된 권리 관리 정보의 무단 변경을 금지한다.(제12조)

이 조약은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WIPO)의 제창으로 1996년 12월에 실연 및 레코드에 관한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 조약(WPPT)과 동시에 작성되어 2002년 3월 6일에 발효되었다.[11] 일본은 발효 전 2000년 6월 6일에 이 조약의 가입서를 기탁했다.[12][13]

이 조약은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기술적 보호 조치 무력화 금지 조항은 합법적이고 공정한 사용 권리를 추구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경제 발전 단계와 지식 산업의 수준이 다른 모든 서명국에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4. 비판

5. 각국의 이행 현황

세계지적재산권기구 저작권 조약은 각국에서 국내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미국은 1998년 10월 제정·시행된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으로 WCT에 대응하는 국내법을 정비했으며[14], 1997년 9월 14일에 조약을 비준하였다.

EU는 2000년 3월 16일의 결정으로 조약을 승인했다. 이와 관련된 EU 지령으로 1996년의 데이터베이스 지령영어 (96/9/EC)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저작권 보호에 대해, 2001년의 정보 사회 지령 (2001/29/EC)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보호된 저작물의 보호를 해제하는 수단의 금지를 정한 것 외에도, 1991년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법정 보호에 관한 지령 (91/250/EEC)을 개정·강화할 목적으로 2009년에 컴퓨터 프로그램 지령영어 (2009/24/EC)을 성립시켰다. EU는 역내 법 정비를 추진하여 2009년 12월 14일에 조약을 비준했으며, 본 조약은 2010년 3월 14일에 EU에 대해 효력을 발생했다.[15] 2001년에 발효된 정보 사회 지령은 2002년 12월까지 가맹 각국이 국내법화를 통해 도입할 의무를 졌지만, 이 기한에 맞춰 시행한 것은 그리스와 덴마크 두 나라뿐이었다. 특히 늦어진 8개국 (벨기에, 스페인,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핀란드, 스웨덴)에 관해서는 유럽 위원회에서 유럽 사법 재판소에 불이행이 통보되었다.[16]

일본에서는 1997년 6월에 저작권법을 개정함과 동시에[17], 디지털 방식의 보호 수단 회피에 대해서는 부정경쟁 방지법에서 금지 사항을 규정했으며, 2000년 6월 6일에 본 조약에 가입했다.[12]

WIPO 저작권 조약은 베른 협약의 규정을 초과하는 저작권 보호 기간의 연장을 규정하고 있지 않다. 본 조약 작성 후에 국내법에 의해 저작권 보호 기간의 연장을 행하고 있는 나라도 있지만, 이것은 본 조약의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저작권 보호 기간 연장의 예로, 미국에서는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과 저작권 연장법 (소위 소니 보노 법) 두 법을 거의 동시에 성립시켜 저작권 기간을 연장했다. 이 때의 표결은, 언론에 보도되지 않도록 발성 표결로 이루어졌다. 또한, EU에서도 거의 같은 시기에 이와 유사한 기간 연장을 행하는 유럽 연합 역내의 저작권 보호 기간의 조화에 관한 지령이 성립되었다.

대한민국은 2000년에 조약에 가입하였으며, 저작권법 개정 등을 통해 조약 내용을 국내법에 반영하였다.

6. 국제 관계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WIPO Lex https://wipolex.wipo[...]
[2]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WIPO Copyright Treaty- contracting parties https://web.archive.[...] 2024-06-04
[3]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WIPO Copyright Treaty https://www.wipo.int[...] 2021-09-01
[4] 논문 The WIPO Copyright Treaty https://dx.doi.org/h[...] 1998
[5]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WIPO Copyright Treaty https://www.wipo.int[...] 2023-11-20
[6] 간행물 Copyright for the Digital Era: the WIPO Internet Treaties https://heinonline.o[...]
[7] 논문 'The WTO, WIPO & the Internet: Confounding the Borders of Copyright and Neighboring Rights' 1997–98
[8] 간행물 'The New WIPO Copyright and Phonograms Treaties: Steps Toward Harmonized Protection for the Digital Age | Publications and Presentations' https://www.arnoldpo[...] 'Arnold & Porter' 1996-10-01
[9] 논문 'North American Anti-Circumvention: Implementation of the WIPO Internet Treaties in the United States, Mexico and Canada.' 2005
[10] 서적 Information Feudalism: Who owns the knowledge economy Earthscan Publications 2002
[11] 웹사이트 WIPO/PR/2001/300: 30th Accession to Key Copyright Treaty Paves Way for Entry Into Force http://www.wipo.int/[...]
[12] PDF 条約検索 https://www.mofa.go.[...] 外務省
[13] 웹사이트 Contracting Parties > WCT > Japan > Details http://www.wipo.int/[...]
[14] 웹사이트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 U.S. Copyright Office Summary https://www.copyrigh[...] U.S. Copyright Office 1998-10
[15] 웹사이트 EUの新しい著作権指令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eumag.jp/ques[...] 駐日欧州連合代表部 2019-08-29
[16]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directive 2001/29/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22 May 2001 on the harmonization of certain aspects of copyright and related righ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http://www.aepo-arti[...] AEPO-ARTIS
[17] 웹사이트 WWWと著作権法改正 http://www.tains.toh[...] 東北大学法学部 TAINS利用研究会知的財産権グループ 芹澤英明
[18] 서적 SPA 종합교양 박문각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